
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,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국내 주요 은행의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는 가운데 고신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금리가 연 4% 가까이 올랐습니다.
6개월 전만 해도 2~3%대에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만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란 전망입니다.
6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5대 시중은행(KB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·NH농협은행)이 고신용자(1~2등급)에게 적용한 신용대출 금리는 연 4%에 육박했습니다. 인터넷은행까지 하면 토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4% 이상입니다.
토스뱅크가 1~2등급 고신용자에 대해 3.96%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카카오뱅크는 저신용자들을 위한 대출을 위해 고신용자를 위한 마이너스통장을 대출을 하지 않습니다. 평균적으로는 신한은행이 제일 낮긴 한데, 신한은행에서도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하니 인터넷은행과 비교 후에 선택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.
지난해 8월에는 신용대출 금리가 2.9~3% 수준이었으나 매월 꾸준히 상승하면서 올해 2월 취급된 대출은 4%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. 신용한도대출(마이너스대출) 금리는 이미 지난해 11월에 4%를 넘어섰습니다.
신용한도대출(마이너스통장)대출 신용등급별 금리현황 (단위 : %)
순위 | 은행 | 1~2등급 | 3~4등급 | 5~6등급 | 7~8등급 | 9~10등급 | 평균금리 |
1 | 토스뱅크 | 3.96 | 4.79 | 7.35 | 11.93 | - | 4.37 |
2 | NH농협은행 | 4.05 | 4.81 | 5.44 | 5.1 | - | 4.26 |
3 | 신한은행 | 4.12 | 5 | 5.67 | 8.85 | 3.27 | 4.2 |
4 | 하나은행 | 4.16 | 4.8 | 5.15 | 6.8 | - | 4.36 |
5 | 우리은행 | 4.26 | 4.56 | 5.47 | 7.81 | 11.7 | 4.4 |
6 | IBK기업은행 | 4.29 | 4.91 | 5.99 | 6.92 | 9.5 | 4.37 |
7 | KB국민은행 | 4.31 | 5.38 | 6.54 | 8.03 | - | 4.52 |
8 | 케이뱅크 | 4.81 | 5.38 | 6.44 | 9.6 | 11.65 | 5.4 |
9 | 카카오뱅크 | - | 4.86 | 6.01 | 8.48 | - | 6.12 |
* 본 자료는 2022년 2월중 취급된 대출을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입니다.(대출금리 = 기준금리 + 가산금리 - 가감조정금리)
① 기준금리 : 대출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금리
② 가산금리* : 대출금리 산정을 위해 기준금리에 가산한 금리
* 가산금리는 업무원가, 법적비용, 위험프리미엄, 가감조정금리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, 신용등급별 예상 손실률 변화, 은행의 업무원가, 자금조달금리 등락 등에 따라 변동 가능
업무원가 : 대출취급에 따른 은행 인건비·전산처리비용 등
법적비용 : 보증기관 출연료와 교육세 등 각종 세금
위험프리미엄 : 고객의 신용등급, 담보종류 등에 따른 평균 예상 손실비용 등
목표이익률 : 은행이 부과하는 마진율
가감조정금리 : 은행 본점이나 영업점장 전결 조정 금리 등
타 대출 기준금리와 은행 자금조달 금리 차이 조정 등
대출금리 관련 세부내용은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대출금리에 대한 이해 코너 참조
※ 소비자포털 비교공시는 2019.7월 이후 '가산금리' 중 '가감조정금리'를 별도 구분하여 공시
* 대출금리 = 기준금리 + 가산금리 - 가감조정금리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우, 나스닥 하락 중 ; 치솟는 유가에 인플레이션 우려 (0) | 2022.03.07 |
---|---|
2022년 2월, 주택담보대출 금리 은행 별 비교 (0) | 2022.03.07 |
2022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 (0) | 2022.01.29 |
2022년 IPO(기업공개) 공모주 일정 (0) | 2022.01.20 |
비트코인 창시자 '사토시 나카모토' 밝혀지나? 미국 법원 정보 공개 청구 중 (0) | 2021.11.17 |